그로스쿨_마케팅러너_6기

그로스쿨 마케팅러너 DAY 7 : GA + 뷰저블 실습!

일왕 2024. 7. 3. 15:08

오늘은 민태님 강의!

벌써 3주차라니 믿기지가 않네요. 강의 -> 과제 -> 팀별 달려달려 -> 과제 -> 하다보면 시간 뚝딱..!

오늘은 사용자 (User)의 데이터를 분석해주는 GA(Google Analytics), 뷰저블에 대해 실습을 진행했다.

뭔가 졸리기에 커피 마셨더니 살아나서 열심히 들은


자료를 수집해야 하는 이유 📒

마케팅의 순서

  1. 가설 수립 : 대상 -는 이 제품에 반응할 것이다. / 좋아할 것이다/구매할 것이다 라는 가설을 수립한다.
  2. 집행 : 1에서 세운 토대로 광고를 집행한다.
  3. 측정 : 집행한 광고를 토대로 데이터를 분석한다.

4. 분석 : 대상--은 이 광고 A부분에선 흥미를 느끼지 않았고, B부분에서 좋은 반응을 얻었다.

집행한 광고로 사용자들의 데이터를 분석해 어느 부분에선 사용자가 집중했고, 어디서 이탈했는지, 어디를

고쳐야 할지 분석한다.

=> 이 과정을 반복해 수정하며 좋은 결과가 나올때까지 반복한다.

만약 가설수립과 집행만 진행되고 수정되지 않는다면 , 이 마케팅은 좋은결과를 얻지 못하고 실패할 것이다.

그러므로 데이터 분석은 중요한 역할이다.

오프라인 장소(매장 등)은 직접 특징(나이대,취향)등을 직접 보고 기록할 수 있지만, 그에 대해서도 한계가 있고

특히 온라인은 우리가 알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쿠키같은 데이터를 이용해 알 수 있는 GA,뷰저블같은 툴을

다루고 있다.


GA에서 자주 사용되는 단어

1.도메인(Domain)

2.랜딩페이지 (Landing Page)

  • 우리가 인터넷에서 광고 링크를 클릭했을때 넘어가서 보이는 페이지

3.파라미터(Parameter)

  • url 뒤에 붙는 숫자나, 문자 같은것들
  • 링크가 깔끔하지 않고 뒤에 $#@345.뭐 이런식으로 붙는 애들이다

4.UTM 코드(UTM Code)

  • 주로 GA에 활용하고, GA에서 정의한 규칙에 따라 방문자를 구별해서 확인한다.
  • 사용자가 어느 사이트를 통해 들어왔는지 알 수 있게 해준다.

5.세션

  • 인터넷 창을 오랫동안 띄워놓고 다른것을 클릭하거나 하지 않다가 나중에 시간이 30분 정도 지나서 보면

로그아웃이 되어있으면서 "죄송합니다.세션이 만료되었습니다" 했던 경험이 다들 있을것이다.

30분정도 사이트에서 아무활동도 하지 않으면 이 창에서는 아 이 사용자가 아무것도 하지 않고 보고만 있구나.

하고 세션에 참여가 없다고 생각하여 만료되는것이다.(정부24나 홈택스 같은 공공기관사이트들이 특히 그런)

  • 만약 사용자가 사이트에 들어가 빠른 시간안에 나오고 아무것도 하지 않고 나온다면 세션 1 / 참여세션은 0 이 된다. (잘못들어간 사용자도 있을것이기 때문에 이는 데이터로 치지 않기 위함.)

  • 반대로 사용자가 들어가서 오랜 기간 머물며 정보도 보고, 클릭도 하고 , 그런 유의미한 활동을 한다면 세션1/참여세션1이 된다.

  • 세션 시간 : 처음 사이트에 들어간 순간부터 그 사이트에서 상세페이지 -> 구매 페이지 등으로 계속 이동하며

머물렀던 시간을 합친 시간이다.

만약 사용자가 사이트에 접속 1:00 -> 사이트에서 스크롤을 하며 머물렀던시간 10분 -> 상세페이지로 이동해서

읽었던 시간 10분 -> 마지막 구매까지 3분이 걸렸다면 이 모든 시간을 합해 세션시간은 23분이 된다.

또, 만약 처음 사이트에 들어가서 아무 활동도 하지 않아 30분이 지난 후에 세션이 만료되어

나중에 사용자가 다시 그 사이트에 방문한다면 세션1이 아니라 세션2로 다시 들어간 것으로 처리된다.


GA 사용하는 방법

구글은 현재 구글 데모 계정을 쓸 수 있게 운영하고 있다👍🏻

이용 방법 : 1. Google 사이트에 "구글 데모 계정" 이라고 서치한다

2.스크린샷에 보이는 애널리틱스 고객센터를 누른다.

3.링크에 들어가 살짝 스크롤을 내리면

이 화면이 보이는데, 보라색으로 처리된 저 링크를 누르면

4.이렇게 따단!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우리는 기능중에 보고서, 탐색 기능을 사용할 것이고

새로 고침을 위해서는 맥북 기준 command + shift+R 을 누르면 실시간 새로고침된다.


GA의 카테고리 4가지

설명

1.홈 : 우리 사이트의 기초 상태

2.보고서 : GA에서 자주 볼 수 있는 데이터를 기본적으로 제공함

3.탐색 : 내가 보고 싶은 "나만의 보고서"를 보는 곳

4.광고 : 구글 광고가 얼마나 영향을 끼쳤는지 기여도를 확인

5.구성 : 유저의 행동(이벤트)가 어떻게 들어왔는지 확인

아직 초보자로서 기능을 잘 모르니 많이 많이 눌러보기!

purchase = 구매전환 / Ig = 인스타로 유입된것 / User = 로그인한 사용자

이 툴로 데이터분석을 통해 사용자들의 특징을 파악하기 정말 편할 것 같았다.

맨땅에 헤딩이 아닌.. 나만 기술 이제 잘하면 척척 박사임


GA를 통해 알 수 있는것

1.해당날짜 조정 가능 : 내가 원하는 날짜만 선택해 그 날의 데이터 분석 가능

2.측정 항목의 종류 : 사용자가 어느 사이트를 통해 유입됐고, 무슨 기기(모바일 or PC)로 들어왔는지 등등


채널의 종류

이 채널들을 통해 어디로 들어왔는지 체크 할 수 있다.


뷰저블

고객의 데이터를 분석 할 수 있는 GA말고, 다른 툴 !

뷰저블은 사용자가 어느 부분에서 터치를 많이 했고, 어디서 제일 집중해서 몇 초 정도 유지하며 읽었는지

이미지와 선으로 보여주는 툴이다.

보면서 아 진짜 상세페이지는 길어질수록 집중도가 아래로 떨어지겠구나,

딱 잠재고객들이 필요로 할 만한 내용을 넣어서 짧고 굵게 해야 읽고 이벤트(구매전환)까지 이어지겠다 라고

생각했다.


오늘 강의는 여기까지!

조별 회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실험계획서를 작성하고, 상세페이지, 광고소재에 대한 회의 진행!

처음 해보는 작업에 다들 이게 맞나 싶어하면서도 열심히 지금까지 잘 하고 있으니 끝까지 결과도 좋을거라고

생각한다.

아자자..

강사님들과 조원들과 박카스와 커피와 내 정신만 있다면 모든 다 해낼 수 있숴